이번 MID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낀 것은 항상 스크래핑할 때는 바로 스크래핑을 시작하기보다는 더 쉽고 빠르게 스크래핑하기 위해 API 있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.
카카오맵 또한 API가 있다.
kakao developers에 가입 후 앱 생성을 통해 API 키를 발급받을 수 있다.
import requests
import json
import simplejson
import pandas as pd
service_url = "https://dapi.kakao.com/v2/search/web"
apikey = "발급받은 API 키를 입력해주세요"
headers = {"Authorization":'KakaoAK ' + apikey}
subject = '놀면 뭐하니'
response = requests.get(url=service_url, headers=headers,
params = {'query':subject}).json()
response
json_data = response['documents'][0]
json_data
참고용:
# dict 자료형의 update 함수로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 및 추가 가능
# 하나의 dict 내에서 여러 개의 key, value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내용이면 list에 append 추천
#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여러 개의 내용 들고오려면 update 함수
json_data.update(details)
json_data
'멋쟁이 사자처럼 AI SCHOOL 5기 > Today I Learne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7주차 총정리] Deep Learning 기초 개념 정리 (0) | 2022.04.26 |
---|---|
[7주차 총정리] Transfer Learning(전이학습) 개념 정리 (0) | 2022.04.26 |
[6주차 총정리] t-SNE 개념 정리 (0) | 2022.04.26 |
[6주차 총정리] Word2Vec 개념 정리 (0) | 2022.04.26 |
[6주차 총정리] pd.Series 특정 문자 포함 여부 확인/ 개수 Count (pd.Series.str.contains()/ str.count()) (0) | 2022.04.26 |